조작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 | 조작적 조건화 | |
행동 | 불수의적 (행동 통제 불가능, 정서적, 생리적) | 자발적 (사람이 행동 통제) |
순서 | 자극 → 행동 | 행동 → 자극 |
학습의 발생 | 중성자극이 무조건자극과 연합될 때 | 행동의 결과가 차후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
(1) 기본 용어
㉠ 강화 : 행동(반응)을 증가시키는 것
- 정적 강화: 자극을 제시하여 강화 (ex. 칭찬 스티커, 용돈 주기)
- 부적 강화: 자극을 제거하여 강화 (ex. 화장실 청소 면제)
*이때 '자극'은 좋은 자극이건 나쁜 자극이건 무관함
㉡ 벌 : 행동(반응)을 감소시키는 것
- 수여성 벌: 불쾌한 자극을 제시하여 벌, 부적 강화물을 주는 것(ex. 화장실 청소)
- 박탈성 벌: 유쾌한 자극을 제거하여 벌, 정적 강화물을 뺏는 것 (ex. 용돈 뺏기)
(2) 강화 계획
㉠ 계속적 강화 : 모든 행동에 강화
㉡ 간헐적 강화 : 일부 행동만 강화
- 고정간격: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 강화
- 변동간격: 시간 간격을 달리하여 강화
- 고정비율: 일정한 행동 수가 나타나면 강화
- 변동비율: 행동 수에 따라 랜덤으로 강화
응용행동분석(행동수정전략)
: 행동변화를 목적으로 행동주의원리를 이용하는 것
(1) 절차
① 목표행동 확인 및 기저선 설정
② 강화인과 처벌인 설정하고 실행
③ 행동 변화 측정
④ 간헐적 강화를 통해 행동 일반화
(2) 바람직한 행동 증가 방법
- 프리맥의 원리: 좋아하는 행동을 강화인으로 제공하는 방법
- 행동조형: 목표행동을 구체적 단계로 나누는 방법
- 토큰 강화: 다른 물건으로 교환 가능한 토큰을 수여
- 행동계약: 목표 행동을 했을 때 주어질 강화인을 교사와 학생의 합의 하에 정하는 방법
(3) 문제행동 감소 방법
- 상반행동 강화: 문제행동의 반대 행동을 강화하여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방법 (칭찬-무시 접근. 혼내지 말고 칭찬)
- 타임아웃: 보상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박탈 (ex. 교실 밖으로 내보내기)
- 소거: 문제행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것
- 반응대가: 문제행동의 대가로 기존에 누리던 강화인 제거
'교육학 > 교육심리, 생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 비고츠키 (0) | 2022.04.30 |
---|---|
[교육심리] 창의성 개발 전략 (시네틱스, 브레인스토밍) (0) | 2022.03.23 |
[교육심리] 동기 이론 (0) | 2022.02.22 |
[교육심리] 편차지능지수, IQ (2013 특수 기출) (0) | 2022.02.22 |
[교육심리]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2019 중등)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