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동기의 기초>
○ 외재적 동기 & 내재적 동기
- 보상 사용의 문제점: 보상이 주어지지 않으면 동기가 저하될 수 있음
- 보상 사용 방법
ⓐ 모든 과제가 아닌 내재적 동기가 유발되지 않는 과제에만 보상한다.
ⓑ 과제의 수준과 질이 향상되었을 때 보상을 제공하여 성취감을 유발한다.
○ 성취동기
도전적이고 어려운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려는 욕구
-성공추구동기(Ms) : 실패시 동기 증가, 중간 난이도를 선택하는 경향
-실패회피동기(Maf) : 성공시 동기 증가, 어려운 과목을 선택하는 경향 (실패를 난이도에 귀인시키려는 목적)
<동기 이론>
01. 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
02. 로저스의 실현 경향성 이론
03. 자기가치이론
04. 데시와 라이언의 자기결정성이론
05. 지능에 대한 믿음
06. 기대X가치이론
07. 반두라의 자기효능감이론
08. 바이너의 귀인이론
09. 목표지향이론
10. 성취동기이론
11. 레빈의 포부수준
12. 칙센트미하이의 몰입
02. 로저스의 실현 경향성 이론
- 성장에는 투쟁과 고통이 수반되며, 이것을 이겨나가는 것이 실현 경향
- 동기의 원천은 자율성을 추구하는 것
- 타인의 역할: '무조건적이고 긍정적인 관심'
ⓐ 학생의 성적이나 행동에 따라 차별적 관심을 주는 행동 피하기
ⓑ 아동이 무조건적이고 따뜻한 관심을 받는다고 느끼도록 환경과 교사의 태도 변화
03. 자기가치이론
- 자기가치란 자기에 대한 정서적 반응
- 사람들은 자기가치를 보호하려는 선천적 욕구가 있음
- 자기장애전략 (코빙톤) : 자기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행동 패턴
ⓐ 미루기 ⓑ 변명하기 ⓒ 걱정하기 ⓓ 노력하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하기
- 교사는 노력을 기울이면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본보기를 보여야 함
04. 데시와 라이언의 자기결정성이론
- 인간은 선천적으로 유능성, 자율성, 관계성 욕구를 지님
ⓐ 유능성 욕구
- 잘 해내고자 하는 욕구
- 학생들의 지식과 기술이 증가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기
- (수행에 대한 교사의 귀인 방식) 학생의 노력 부족에 원인을 두기
(칭찬과 비판) 부적절한 칭찬은 오히려 학습동기 손상, 시의적절한 비판은 동기를 높임
(감정적 반응) 실패했을 때 불쾌감을 표현하는 교사는 학생이 노력하면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믿는 것으로 보임
(도움의 제공) 학생이 도움을 요청하지 않으면 도움을 주지 않기
ⓑ 자율성 욕구
- 선택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교실의 규칙과 절차를 만드는 과정에 학생이 참여하도록
- 노력과 전략 사용의 효과를 강조하고 능력의 영향은 덜 강조
ⓒ 관계성 욕구
- 사랑과 존경받을 가치가 있다는 느낌, 인정 욕구
- 교사는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전달
학생이 교사가 자신을 좋아하고 이해하고 공감해준다고 믿을 때 수업 활동에 더 열심히 참여
06. 기대X가치이론
- 자신의 능력에 대한 기대와 과제의 가치(내가 이 과제를 왜 수행하는가?)가 동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
- 기대와 가치의 곱이 학습 동기의 정도를 결정
07. 반두라의 자기효능감 이론
- 자기효능감: 과제를 잘 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 자기 효능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4가지 요인
ⓐ 과거의 성취 경험
ⓑ 대리경험
ⓒ 사회적, 언어적 설득
ⓓ 심리 상태 (ex. 발표를 하는데 심장이 두근거림을 느낄 때, 자신의 준비가 부족하다고 해석하면 자기효능감 하락)
08. 바이너의 귀인이론
- 귀인: 수행의 원인이 어디에 있는가?
책임소재 | 안정성 |
통제 | |
능력 | 학습자 내부 | 안정 | 통제 불가 |
노력 | 학습자 내부 | 불안정 | 통제 가능 |
운 | 학습자 외부 | 불안정 | 통제 불가 |
난이도 | 학습자 외부 | 안정 | 통제 불가 |
*안정성: 변화 가능성이 있느냐 없느냐
- 학습된 무력감: 실패를 능력 부족으로 여길 경우 아무리 노력해도 성공할 수 없다는 감정이 생김
09. 목표지향이론
- 성취 상황에서 사람들은 서로 다른 유형의 목표를 추구함
ⓐ 숙달목표
- 학습에 대한 이해와 과제의 달성을 추구하는 목표 (노력에 귀인)
ⓑ 수행목표
- 다른 사람과의 비교를 통해 우월함을 드러내려는 목표 (능력에 귀인)
┌수행접근목표: 유능하게 보이는 것, 다른 사람으로부터 호의적 평가를 받는 것을 목표
└수행회피목표: 무능하게 보이지 않는 것, 호의적이지 않은 평가를 피하는 것을 목표
ⓒ 사회적 목표
- 사회적 상호작용을 달성하려는 목표
ⓓ 과제회피목표
- 과제가 쉽거나 노력을 거의 기울이지 않고 마칠 수 있을 때 성공적이라 느끼는 상황
*외재적 보상과 동기
'교육학 > 교육심리, 생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심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 비고츠키 (0) | 2022.04.30 |
---|---|
[교육심리] 창의성 개발 전략 (시네틱스, 브레인스토밍) (0) | 2022.03.23 |
[교육심리] 행동주의 학습이론 (0) | 2022.03.15 |
[교육심리] 편차지능지수, IQ (2013 특수 기출) (0) | 2022.02.22 |
[교육심리]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2019 중등) (0) |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