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09
728x90

갈래   자유시, 서정시, 참여시

성격   현실 참여적, 저항적, 의지적

제재   민족의 현실

주제   부정적 세력에 대한 저항, 민족의 화합과 통일에 대한 소망

특징

ⓐ 직설적 표현으로 부정적 현실 인식을 드러냄

ⓑ 명령법으로 단호한 의지 표현

ⓒ 반복적 표현, 대조적 시어의 사용을 통해 주제 강조

출전   "52인 시집"(1967)

 

시인 신동엽

 1950~60년대 시단에서 역사와 현실에 대한 자각과 그것의 시화를 통해 근원적인 민중시를 정착시키는 데 선구적 역할을 했다.

  충남 부여 출생.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가 당선하여 등단하였다. 고통스러운 민족의 역사를 전제로 한 참여적 경향의 시와 분단 조국의 현실적 문제에 관심을 표명한 서정시와 서사시를 주로 썼다. 시집으로 “아사녀”(1963),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1979), “금강”(1989) 등이 있다.

  신동엽 시인은 인간 생명의 원초적 본질인 대지에서 우리 민족 공동체가 함께 살기를 소망했다. 하지만 당시는 외세의 개입으로 인한 사회적 모순부조리가 가득했고 남과 북은 이념 대립으로 분단되어 있는 상태였다. 시인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외세와 봉건에 저항했던 동학 혁명이나 불의에 저항했던 4월 혁명과 같은 정신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껍데기는 가라.
사월도 알맹이만 남고
껍데기는 가라.
 *가라: 명령형 어미 (명령적 어조), 직설적
      ⓐ 의지 강조, 주제에 집중시킴
      ⓑ 지속적 긴장감 부여
      ⓒ 운율 형성 (반복)
      ⓓ 형식적 완결성에 기여
 *사월: 4.19 혁명 (1960.4.19.)
 *알맹이: 중요한 것. ⓐ 순수한 정신 ⓑ 본질 ⓒ 민족정신
 *껍데기: (↔알맹이) 허위, 겉치레, 부정적 세력
 *껍데기는 가라 - 419 혁명의 열망이 퇴색해 가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東學年) 곰나루의, 그 아우성만 살고
껍데기는 가라.
 *동학년: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난 1894년
 *곰나루: 충남 공주의 옛이름. 우금치 전투가 있었던 곳
 * , (쉼표) 사용 → 긴장감 유지
 *아우성: 동학농민의 순수한 정신 (반봉건, 반외세) - 청각적 심상
 *껍데기는 가라 - 동학 혁명의 열망이 퇴색해 가는 현실에 대한 안타까움
 
그리하여, 다시
껍데기는 가라.
이곳에선,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아사달 아사녀
중립의 초례청 앞에 서서
부끄럼 빛내며
맞절할지니
 *그리하여, 다시 / 껍데기는 가라: 화자의 의지 강조
 *이곳: 한반도
 *두 가슴과 그곳까지 내논: 인간 본연의 순수한 모습 (허위, 가식X)
 *아사달, 아사녀: 석가탑 창건 설화에 나오는 두 주인공, 부부였지만 헤어져 살다가 비극적 결말을 맞음 → ⓐ 우리 민족 ⓑ 분단 현실 투영
 *초례청: 혼례를 치르는 곳. (=두 사람이 만나 연을 맺는 일!)
 *중립의 초례청: 이념을 초월한 민족 화해의 장소.
 *부끄럼 빛내며: 시각적 형상화
 *맞절: 통일, 화합
 
껍데기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향그러운 흙 가슴만 남고
그, 모오든 쇠붙이는 가라.
 *한라에서 백두까지: 한반도 전체 - 대유법(제유)
   └ 분단에 대한 이야기라는 것을 추측 가능
 *향그러운 흙 가슴: 순수한 정신. 후각적 심상
 *쇠붙이: (≒껍데기) 부정적 요소, 화합을 가로막는 무력
 *모오든: 시적 허용, 의미 강조

 


 


※ 4·19 혁명 : 1960년 4월 19일에 절정을 이룬 한국 학생의 일련의 반부정, 반정부 항쟁 운동. 정부 수립이후 정치 파동을 야기시키고 영구 집권을 꾀했던 이승만과 자유당의 12년간에 걸친 장기 집권을 종식시키고 제2공화국의 출범을 보게 한 역사적 전환점이 되는 사건임.

 

※ 동학 농민 운동 : 조선 고종 31년(1894)에 동학교도 전봉준이 중심이 되어 일으킨 반봉건·반외세 운동으로,  농민들이 궐기하여 부정과 외세에 항거하였다고 해 '갑오농민전쟁'이라고도 한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53224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b13s2616b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