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08
728x90
시인 조지훈 (1920~1968)
정지용의 추천으로 등단. 박두진, 박목월과 함께 1946년 시집 『청록집』을 간행하여 '청록파'라 불리게 되었다.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전통적, 묘사적, 불교적

제재   승무

주제   세속적 번뇌와 종교적 승화

특징

ⓐ 춤을 추는 순서에 따른 추보식 구성.

ⓑ 수미상관 구성.

ⓒ 우아하고 예스러운 어휘를 사용함.

ⓓ 4음보 율격, 소재 등으로 전통성을 드러냄.

출전   『청록집』(1946) 첫 발표는 『문장』(1936)

 

 

*표는 해설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눈 것으로, 작품과는 무관함.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 머리
박사 고깔에 감추오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
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 1~3연 : 여승이 춤을 추기 직전의 모습.

 *하이얀: 시각적 심상. 색채. 시적 허용(하얀)
 *나빌레라: 나비 같구나.

 *파르라니 깎은 머리: 시각적 심상. 승려임.
 *박사 고깔: 얇은 고깔.
 *감추오고: 시적 허용(감추고)

 *두 볼에 흐르는 빛이/정작으로 고와서 서러워라: 여승이 젊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음. / '두 볼의 흐르는 빛'은 눈물로 해석하기도 함.
 *고와서 서러워라: 역설법

 ○ 고깔 → 머리 → 볼로 시선을 이동함 (위에서 아래로)

빈 대에 황촉불이 말없이 녹는 밤에
오동잎 잎새마다 달이 지는데
 ○ 4연: 승무의 무대 배경 (적막함)

 *빈 대: 공간적 배경. / 밤: 시간적 배경
→ 승무는 보여주려는 것이 아니라, 본인의 내면을 다스리는 종교적 행위임.
 *황촉: 초. 꿀벌의 밀랍으로 만듦.
 *녹는 밤 / 달이 지는데: 하강 이미지. 적막한 분위기.

소매는 길어서 하늘은 넓고
돌아설 듯 날아가며 사뿐이 접어 올린 외씨버선이여.
 ○ 5연: 승무의 역동적인 춤사위.

 *돌아설 듯 ~ 외씨버선이여: 춤의 속도가 빨라짐 - 4.7.4.6의 음수율로 급박하게 읽힘.
 *외씨버선: 오이씨처럼 갸름하고 코가 예쁜 버선. (여성)
까만 눈동자 살포시 들어
먼 하늘 한 개 별빛에 모두오고

복사꽃 고운 뺨에 아롱질 듯 두 방울이야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 6~7연: 번뇌의 종교적 승화. - 춤 동작 묘사가 잠시 멈춤.
춤사위 중 별을 바라보다가 눈물을 흘리고 있는 모습.

 *별빛: 여승이 응시하고 있는 것. 여승이 염원하는 경지, 해탈, 종교적 승화.
 *먼 하늘 ~ 모두오고: 춤 정지 상태 - 3.2.3.4의 음수율로 느리게 읽힘. 

 *복사꽃 고운 뺨: 젊음의 표상.
 *두 방울: 눈물. 속세에 대한 미련 + 정화의 의미.
 *번뇌: 여승이 승무를 통해 극복하고자 하는 대상.
 *세사에 시달려도 번뇌는 별빛이라: (시의 핵심) 아무리 세상 일에 시달린다고 해도, 번뇌는 별빛처럼 찬란하고 아름다운 것이라는 의미.
휘어져 감기우고 다시 접어 뻗는 손이
깊은 마음속 거룩한 합장인 양하고
 ○ 8연: 경건성이 느껴지는 승무의 춤사위.
유장한(느릿한) 춤의 모습을 합장에 비유함으로써 승무에서 느껴지는 경건성을 나타냄.

 *합장인 양하고: 직유법.
이 밤사 귀또리도 지새우는 삼경인데
얇은 하이얀 고깔은 고이 접어서 나빌레라.
 ○ 9연: 승무의 정적미, 계속되는 여운.
 
 *이 밤사:
 *삼경: 밤 11시~오전 1시
 -수미상관 구조: 정적미, 승무의 계속되는 여운 전달

 

 

○ 승무란?

장삼을 입고, 고깔을 쓰고, 법고에 맞추어 추는 춤.

종교 수행의 어려움과 파계에 대한 두려움 등을 법고와 춤을 통하여 극복하려는 염원을 담고 있음.

이 시에서 여승이 춤을 추면서 별을 바라보고 합장을 하는 듯한 모습은 현실적 고통이 승화되기를 소망하는 것.

 

○ 주제의식에 기여하는 요소

ⓐ 시적 허용

 - 하이얀, 감추오고, 모두오고, 감기우고

ⓑ 예스러운 표현

 - 얇은 사, 박사 고깔, 황촉불, 외씨버선, 이 밤사, 귀또리, 삼경

ⓒ 수미상관 구조

→ 작품의 전통적인 멋과 함께 음악성, 회화성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 이미지의 대립 (지상적 이미지 - 천상적 이미지)

 '승무(춤)'라는 소재로 현실을 초월하는 모습을 그리므로, 이미지들도 지상(현실)과 천상(현실 초월)의 대립적 관계를 나타냄.

*지상적 이미지: 빈 대, 고깔, 눈물

*천상적 이미지: 하늘, 나비, 별빛

 

○ 화자의 태도

- 이면적 화자. 승무를 보고 있음.

- 완상자적 관점. 관조적.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함.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