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기억 잘하는 법
1. 정보처리 과정
주의 ▷ 지각 ▷ 시연 ▷ 부호화 ▷ 인출 ▷ 망각
2. 정보저장소
감각기억 | 감각 수용기관(눈, 귀…)을 통해 정보를 최초로 저장 시각의 경우 2초, 청각의 경우 약 4초 정도 저장함 |
작업기억 | 감각기억에 들어온 정보를 유심히 생각(주의, 지각)하게 되면 넘어오는 공간 투입된 정보를 해석하고 결과를 판단하는 작업이 이루어짐 5~9개의 정보가 약 20초 동안 저장, 정보가 많으면 인지적 부하 발생 |
장기기억 | 무한한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곳 |
3. 유의미한 부호화 전략
*부호화: 정보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형하는 과정
학습 개념을 아무리 암기해도 잘 떠올리지 못하는 것은 유의미한 부호화 전략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
정교화 |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연결하기 -방안: 예시 들기, 유추 사용하기 |
조직화 | 관련있는 내용을 묶기 |
심상화 | 시각화하기 ex) 조직화한 것을 표로 만들어 시각화하기 |
맥락화 | 정보가 학습 상황의 맥락과 함께 처리됨 |
기억술 | 억지로 정보의 연합을 만들어 내는 전략 (1) 장소법 - 특정 장소, 사물에 내용 연결시키기 (2) peg-word법: 숫자에 정보 연결하기 (3) 두문자법: 첫 글자로 한 단어 만들어 기억하기 |
4. 정보 처리 이론과 평가 불안
< 평가 불안으로 인해 시험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하는 경우 >
*원인: 평가에 대한 부정적 기억, 불안이 작업 기억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여 장기기억을 인출을 방해하기 때문
*해결 방안
(1) 타인이 아닌 자기의 이전 성취 결과와 비교하도록 하여 시험을 발전의 기회로 받아들이도록 함
(2) 시험의 시간 제한을 완화하여 부담을 줄임
기타 시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들!
728x90
'교육학 > 교육심리, 생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지도] 진로상담이론 - 크럼볼츠의 사회학습이론 (0) | 2022.06.05 |
---|---|
[교육심리] 전이 이론 (0) | 2022.05.09 |
[교육심리] 도덕성 발달 이론(콜버그) (1) | 2022.05.06 |
[교육심리] 인지발달이론 - 피아제, 비고츠키 (0) | 2022.04.30 |
[교육심리] 창의성 개발 전략 (시네틱스, 브레인스토밍) (0) | 2022.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