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09
728x90
기억 잘하는 법

1. 정보처리 과정

주의 ▷ 지각 ▷ 시연 ▷ 부호화 ▷ 인출 ▷ 망각

 

2. 정보저장소

감각기억  감각 수용기관(눈, 귀…)을 통해 정보를 최초로 저장
 시각의 경우 2초, 청각의 경우 약 4초 정도 저장함
작업기억  감각기억에 들어온 정보를 유심히 생각(주의, 지각)하게 되면 넘어오는 공간
 투입된 정보를 해석하고 결과를 판단하는 작업이 이루어짐
 5~9개의 정보가 약 20초 동안 저장, 정보가 많으면 인지적 부하 발생
장기기억  무한한 정보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곳

 

3. 유의미한 부호화 전략

*부호화: 정보를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형하는 과정

학습 개념을 아무리 암기해도 잘 떠올리지 못하는 것은 유의미한 부호화 전략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했기 때문

정교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정보를 새로운 정보에 연결하기
-방안: 예시 들기, 유추 사용하기
조직화 관련있는 내용을 묶기
심상화 시각화하기
ex) 조직화한 것을 표로 만들어 시각화하기
맥락화 정보가 학습 상황의 맥락과 함께 처리됨
기억술 억지로 정보의 연합을 만들어 내는 전략
(1) 장소법 - 특정 장소, 사물에 내용 연결시키기
(2) peg-word법: 숫자에 정보 연결하기
(3) 두문자법: 첫 글자로 한 단어 만들어 기억하기

 

4. 정보 처리 이론과 평가 불안

< 평가 불안으로 인해 시험 문제를 제대로 풀지 못하는 경우 >

*원인: 평가에 대한 부정적 기억, 불안이 작업 기억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여 장기기억을 인출을 방해하기 때문

*해결 방안

(1) 타인이 아닌 자기의 이전 성취 결과와 비교하도록 하여 시험을 발전의 기회로 받아들이도록 함

(2) 시험의 시간 제한을 완화하여 부담을 줄임

기타 시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안들!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