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숨아 셰 한숨아>(='벽 노래')와 짝을 이루는 '창 노래' 작품
주제: 삶의 답답함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
특징
(1) 마음에 창을 낸다는 기발한 발상을 통해 문학성을 획득함
(2) 비애와 고통을 웃음을 통해 극복하려는 해학성이 돋보임
창 내고쟈 창을 내고쟈 이내 가슴에 창 내고쟈 | -초~중장: 창을 내고 싶은 소망 -답답한 마음을 '방'에 비유 -시구 반복 (a-a-b-a 구조) -불완전하게 종결되는 문장의 반복으로 율격 형성 |
고모장지 셰살장지 들장지 열장지 암돌져귀 수돌져귀 배목걸새 크나큰 쟝도리로 뚱딱 바가 이내 가슴에 창 내고쟈 | *고모장지~배목걸새: 장지문의 종류와 부속품. 답답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법 *뚱딱: 음성상징어 - 친근한 일상적 사물 나열 - 구체성, 사실성, 현실감 - 열거법, 과장법 - 초장의 '이내 가슴에 창 내고쟈'가 다시 반복 → 강조 |
잇다감 하 답답할 제면 여다져 볼가 하노라 이따금 몹시 답답할 때면 여닫아 볼까 하노라 |
창을 내고 싶은 이유: 창을 여닫아 답답함을 해소하고자 함 |
+
사실적이고 구체적인 사물로 비현실적 장면 묘사 → 현실감을 높이는 효과 → 역설적
중장에서 들장지와 열장지는 동시에 달기 어려움 - 어떤 형태로든 창문이 있어야 한다는 당위가 실현 가능성을 압도함
화자가 추구하는 소망이 시각적으로 청자에게 전달
728x90
'작품 해설 > 고전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부사(어부단가)> (이현보) 해설 (0) | 2022.04.21 |
---|---|
<흥망이 유수하니(원천석)> 해설 (0) | 2022.04.07 |
<면앙정가(송순)> 정리 (1) | 2022.03.31 |
<누항사(박인로)> 해설 (1) | 2022.03.30 |
<우활가(정훈)> 해설 (0) | 2022.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