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알뛰세 관점에서 학교의 역할
학교의 교육 내용은 상위 계층에게 유리함
학교는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로서 지배 이데올로기를 아동에게 주입시켜 현재의 사회구조를 유지시키는 역할
그러나 학교 조직은 동시에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성=상대적 자율성을 갖고 있음
@ 교육철학 사조
진보주의
- 방법: 아동 경험 중시, 프로젝트법, 문제해결법
- 내용: 아동의 흥미와 요구에 따른 다양한 실생활 문제
- 교사 역할: 조력자
본질주의
- 방법: 훈련과 노력 중시
- 내용: 문화유산 중 가장 본질적인 교과를 가르침
- 교사 역할: 수업 주도
항존주의
- 방법: 모든 사람에게 같은 교육과정과 목표 제공
- 내용: 고전독서 교육 (절대불변, 보편적 진리)
- 교사 역할: 수업 주도+발견중심 수업
재건주의
- 방법: 집단 토의수업
- 내용: 인간의 경험, 문화유산
@ 게젤과 텔렌 수정 모형
개인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차원
규범적 차원
개인적 차원
+
인류학적 차원 (사회의식에 영향)
생물학적 차원 (교사의 신체적 제약)
조직풍토 차원
@ 텍스트성
통일성
응집성
의도성
용인성
상호텍스트성
정보성
상황성
@ 어근 합성어, 종합 합성어
어근+어근 ➡️ 어근합성어
어근+파생어, 용언의 굴절형 ➡️ 종합 합성어
어근합성어 종류
대등 합성어 (a+b에서 a와 b의 의미 관계가 대등)
종속 합성어 (수식 관계)
융합 합성어 (아예 새로운 뜻)
@ 부정법
동사에는 현재시제 선어말 O (-ㄴ,-)
형용사는 현재시제 선어말 X
이때 영 형태소로 시제를 표현하는 것이 부정법
부정법이란 특정한 형태소가 개입되지 않고 용언의 동작류에 따라 시제가 결정되는 무표적인 영형태(∅)를 가리킨다. “大王ᄋᆞᆯ 보ᅀᆞᄫᆞ라 오ᅌᅵ다(월인석보 8:90)”에서는 ‘-ᄂᆞ-’, ‘-더-’, ‘-리-’ 등 시상과 관련된 선어말어미가 나타나 있지 않지만, “대왕을 보러 왔습니다” 정도로 해석되는 문장으로, 이렇게 동사가 서술어로 쓰였을 때는 부정법이 과거를 나타낸다.
@표현주의 작문이론
개념: 글쓰기는 필자의 개인적 표현이며ㅡ 쓰기에서 중시해야 하는 것은 필자의 생활 경험이라고 보는 이론
쓰기 목적: 필자의 자아 성숙, 자아 발견
교사 역할: 학습자의 쓰기 과정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조언자
'복습하는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인이론, 학교학습모형, 관계절&보문절, 중세 /ㄱ/ 탈락 환경, /ㄷ/→/ㄹ/ 교체 환경 (0) | 2023.07.19 |
---|---|
지위획득이론, 직무재설계이론, 의사결정모형6 / SQ3R, 공공포럼토론, 의회식토론, 생태학적 평가 (0) | 2023.07.19 |
자기가치이론, 반학교문화, 평가관 / 사회적 스키마, 거시적 독서, 중의성 종류, 협력의 원리 (0) | 2023.07.16 |
23-03-01 교육과정 (0) | 2023.03.01 |
22-02-24 키워드 인출 (0) | 2022.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