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26
728x90

갈래   자유시, 주지시, 참여시

성격   상징적, 주지적 참여적, 비판적

주제   민중의 끈질긴 생명력

특징

1. 대립적 시상 구조로 주제를 강화함.

2. 반복과 대구를 통해 리듬감을 형성함.

3. 상징적 의미를 지닌 시어를 사용하여 주제를 드러냄.

출전   <창작과 비평(1968)>

 

풀이 눕는다
비를 몰아오는 동풍에 나부껴
풀은 눕고
드디어 울었다
날이 흐려서 더 울다가
다시 누웠다
*동풍: 풀을 눕히고, 울게 하는 존재
(동풍은 봄바람이라는 의미지만, 그런 것과 관계없이 비를 몰아오는 바람이라는 의미로 제시)

*날이 흐려서: 암울한 상황
*더 울다가: 풀에게 가해진 시련이 만만치 않았음
*다시 누웠다: 수동적인 모습

- 울었다 / 누웠다: 의인화된 표현

▷ 풀의 나약한 모습
   
풀이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바람보다도 더 빨리 울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
풀의 변화. 시상의 전환 (수동적, 나약함→능동적, 강인함)

*바람보다도 더 빨리 눕는다:
  - 풀이 바람보다 더 빨리 눕고 더 빨리 울기 때문에, 바람보다 먼저 일어날 수 있게 됨.
  - 시련과 고통을 먼저 접하므로 먼저 벗어날 수 있음.

▷ 풀의 능동적 태도
▷ 바람의 억압 앞에서 생명력을 드러냄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
발목까지
발밑까지 눕는다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나고
바람보다 늦게 울어도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날이 흐리고: 여전히 암울한 현실
*발목까지 / 발밑까지 눕는다: 풀을 억압하는 바람이 더 거세짐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 바람보다 먼저 웃는다: 2연과 반대 상황으로 설정됨.
바람보다 빨리 눕건 늦게 눕건 상관없이, 풀은 바람보다 먼저 행동함을 강조한 것.
→ 풀이 주체적 의지로 바람을 앞지름. 풀의 생명력.

*날이 흐리고 풀뿌리가 눕는다: 뿌리까지 누워도 다시 일어설 것이라는 믿음

 

○ '풀'과 '바람'의 상징적 의미

- 바람: 사회적 상황을 고려할 때, 민중을 억압하는 독재 권력 등

- 풀: 나약하지만 시련에 굴하지 않는 강인한 생명력

+ '눕는다', '일어난다'는 민중이 억압에 쓰러졌다가도 다시 일어나서 저항한다는 상징적 의미

 

○ 대조적, 점층적 시상 전개

1연 ↔ 2, 3연이 대조적

1연은 풀의 나약한 모습

2, 3연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모습

3연에서는 한층 더 나아가 바람보다 먼저 웃을 수 있는 강인한 생명력

 

 

728x90

'작품 해설 >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탄제(오장환)> 해설  (0) 2023.06.29
<상처가 더 꽃이다(유안진)> 해설  (1) 2023.06.29
<꽃(김춘수)> 해설  (0) 2023.05.28
<새로운 길(윤동주)> 해설  (2) 2023.05.28
<청포도(이육사)> 해설  (0) 2023.05.28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