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28
728x90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관념적, 주지적, 상징적

제재  꽃

주제  존재의 본질 구현에 대한 소망

특징

(1) 간절한 어조를 사용하여 소망을 드러냄

(2) 존재의 의미를 점층적으로 심화, 확대함

(3) 사물에 대한 인식론과 존재론을 배경으로 함

출전  《시와 시론》(1952)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이름을 불러 주기 전: 대상을 인식하기 전
*하나의 몸짓: 무의미한 존재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이름을 불러 주었을 떄: 명명 행위 - 대상의 존재를 인식하고 의미를 부여
*꽃이 되었다: 의미있는 존재가 됨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나의 이 빛깔과 향기: 나만의 개성, 본질적 가치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누군가 자신의 존재를 인식해주기를 소망함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무엇, 눈짓: 서로에게 의미 있는 존재
*나▷우리들: '나'의 소망이 '우리들'의 소망으로 확대됨 (인식의 주체 확대)

 

○ 인식의 주체와 존재의 의미 확대

- 인식의 주체:  나 ▷ 그 ▷ 우리

- 존재의 의미:  몸짓 ▷ 꽃 ▷ 눈짓

                        (의미 없는 존재 ▷ 의미 있는 존재 ▷ 상호 간 의미 있는 존재)

728x90

'작품 해설 >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처가 더 꽃이다(유안진)> 해설  (0) 2023.06.29
<풀(김수영)> 해설  (0) 2023.06.26
<새로운 길(윤동주)> 해설  (2) 2023.05.28
<청포도(이육사)> 해설  (0) 2023.05.28
<섬진강1(김용택)> 해설  (0) 2023.04.04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