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31
728x90

(1) 다학문적 통합


- 동일 주제를 여러 교과의 시각으로 보는 것
- 하나의 교과에서 주제를 추출하고, 개별 교과들이 이 주제에 어떻게 공헌할 수 있는지 탐색
- 개별 교과의 정체성을 인정
- 성인에게 적합
ex| 대학 수업. 각각의 수업을 학생들이 전공 영역에 맞게 수강하여 통합적 경험


(2) 간학문적 통합


- 여러 교과에 걸친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조직
- 중요한 주제를 추출하는 것부터 시작, 주제가 나오면 각 교과에서 관련 내용을 추출하여 묶음 (새로운 학문 영역 탄생)
- 교과 간 엄격한 경계가 사라짐
- 각 학문 영역의 교사가 모여 팀티칭, 블록타임 활용 가능
ex| 초등 통합교과 (봄 - 봄 문학, 음악, 도덕, 미술 등)

(장점) 창의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기를 수 있음 / 주제에 대한 고차원적 이해 가능
(단점) 각 교과별 지식 습득 저해 / 여전히 교사 중심


(3) 탈학문적 통합


- 실생활의 문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 조직. 실생활과의 연계 강조
- 간학문이 교과 내 원리를 주제로 한다면, 탈학문은 학습자의 흥미 자체를 주제로 접근
- 개별 교과의 정체성 사라짐 (특정 교과의 교육과정이나 교육목표에 관심X)
- 초등 저학년 학생에게 적합
ex| 중핵 교육과정

(장점) 실생활의 문제해결능력 기를 수 있음 / 학생의 흥미나 필요를 기반으로 함
(단점) 각 교과별 지식 습득 저해



⚫️ 교육과정 통합의 원칙

1. 중요성
2. 일관성
3. 적합성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