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29
728x90

갈래   고전 소설, 한문 소설, 명혼 소설, 애정 소설, 전기 소설

성격   전기적, 비극적, 환상적, 낭만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시간] 고려 공민왕 (고려 말)

          [공간] 송도 (=개성. 고려 수도)

주제   생사를 초월한 사랑

특징

1. 전기적 특성 - 죽은 여인과 사랑

2. 만남과 이별이라는 서사 구조의 반복으로 이야기 전개

3. 삽입 시를 통해 심리 표현

4. 유교, 불교, 도교 사상(=유불선)이 혼재되어 나타남

5. 실제 역사적 사건인 홍건적의 난을 배경으로 함

6. 현실의 제도, 전쟁, 운명과 대결하는 인간의 의지가 드러남

 

김시습
조선 전기 학자, 소설가. 호는 매월당.
생육신 중 한 명으로, 수양 대군이 단종을 내몰고 왕위에 오르자 책을 태워 버리고 승려가 되어 전국을 방랑하였다.
유교 학자지만 사상적으로 불교와 도교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김시습의 글쓰기는 유학자적인 면모와 선승으로서의 면모, 그리고 떠도는 방외인으로서의 면모를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현존 자료로는 시문집인 《매월당집》과 한국 최초의 한문 단편 소설집인 《금오신화》가 있다.

 

 

○ 줄거리, 구성

전반부 만남 이생이 담장 안을 들여다보다가 최 씨와 사랑에 빠짐 발단
→ 이별 이생 부모가 반대하여 이생을 울주로 보냄 전개1
만남 이생을 그리워하던 최 씨의 노력으로 혼인 전개2
후반부 → 이별 최 씨가 홍건적에 의해 살해당함 위기
만남 죽은 최 씨가 현신하여 이생과 재회함
(인귀 교환 모티프)
결말
→ 이별 최 씨가 저승 세계의 법령을 위반할 수 없어 저승으로 돌아감 절정

- 최랑 "세 번이나 좋은 시절을 만났습니다만, 세상일은 어긋나기만 하네요."

- 만남과 이별이 반복되는 구성으로 등장인물의 감정의 긴밀도를 높이고, 결말의 비극성을 보여 줌.

 

 

○ '최 여인(최씨, 최랑)'의 환생이 갖는 의미

(1) 이생(이 서생)과의 사랑을 다시 성취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 장치

(2) 죽음도 갈라놓을 수 없는 사랑을 통해 부당한 현실(전쟁, 계유정난 등)에 대한 저항 의지를 드러냄

(3) 죽음을 뛰어넘는 사랑으로 독자의 연민, 공감, 안타까움 유발, 흥미 유발

 

 

○ 삽입 시의 기능

전장의 창과 방패가 시야에 가득 어지러운 곳
옥구슬 부서지고 꽃잎은 날며 원앙도 짝 잃었네
낭자하게 흩어진 해골 그 누가 묻어 주랴
피에 젖어 떠도는 영혼은 하소연할 사람 없어라.

고당에 무산 선녀 한번 내려온 뒤로
깨졌던 구리거울 다시 갈라지니 마음만 쓰려라.
이제 작별하면 둘 다 아득하여
천상과 인간 사이에 소식조차 막히리라

 

정서적 서사적
- 인물의 정서를 비유적, 함축적으로 전달함.
- 인물의 심리와 상황에 대한 정서적 여운을 줌.
- 상황을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낭만적 분위기를 형성함.
- 이전에 일어난 사건을 압축적으로 보여 줌.
- 사건이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암시함.
- 서사적 전개 속에서 서정적 감흥을 일으켜 사건 전개의 단조로움을 탈피함.
- 주제를 집약적으로 전달함.

++ 삽입 시 중 '고당에 무산 선녀 한번 내려온 뒤로'의 의미

→ 전국 시대 초나라 회왕이 낮잠을 자다 꿈속에서 무산의 여인을 만나 즐거움을 누림. 회왕이 다시 만날 것을 간청하자 여인은 아침에는 구름이, 저녁에는 비가 되어 머물러 있을 것이니 항상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함.

 

(1) 자신(최 씨)은 무산 선녀와는 달리 다시 만나러 올 도리가 없다는 의미

    └ 비상 교과서에는 '슬프다 이내 몸은 무산 선녀 될 수 없고 / 깨진 거울 갈라지니 마음만 쓰라리네'

(2) '무산 선녀'는 최 씨의 비유로, 최 씨와 이생이 재회하여 행복울 누린 것을 의미

 

 

○ 작품에 드러난 작가 의식, 가치관

- 진보적 애정관, 자유연애 (최 씨)

- 유교적 세계관 (절개와 의리가 목숨보다 귀중함)

- 불교적인 세계관, 생사관 (비극적 결말)

- 부정적인 현실 인식 (비극적 결말)

- 현실에 대한 저항 (비극적 결말

 

 

○ 담장의 상징적 의미

- <이생규장전> 제목의 의미: 이생이 담장 너머를 엿본 이야기 (엿볼 窺, 담 牆)

(1) 남과 여를 분리하는 경계

(2) 생과 사를 분리하는 경계

 

 

○ <이생규장전>의 가치

(1) 한국 소설의 출발점이 되는 작품임.

(2) 운명에 순응하기보다 운명과 대결하며 그릇된 세계의 질서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비장한 결단을 보임.

(3) 기이한 사건과 비극적 결말이 유기적으로 잘 결합됨.

(4) 실제 사건인 홍건적의 난을 모티프로 현실감을 높임.

 

 

○ 애정 전기소설로서의 장르적 특징

1. 남주인공은 대부분 한미한 가문의 서생이나 시문에 뛰어남.

    여주인공은 상층 귀족으로 남주인공의 시문 능력을 인정.

2. 남성 주인공은 ⓐ고독감, ⓑ내면성, ⓒ소심한 면모와 나약한 인간상, ⓓ강한 문예 취향이라는 특질.

 

 

 

○ 설화와 소설의 비교

설화 소설
- 핵심 사건을 중심으로 다룸
- 인물의 심리 묘사가 생략되거나 간략하게 서술
- 사건 전개의 인과성이나 개연성이 무시됨 
- 전체 줄거리의 세부적 장면을 묘사, 더 길고 섬세함
- 인물의 내면과 심리 변화를 자세하게 묘사
- 사건 전개의 개연성과 인과성을 중시

- 각각의 갈래에 해당하는 모든 작품들에 대한 절대적 평가가 아님

 

 

 

동아 3. 한국 문학의 이해
(2) 조선 시대의 문학
- 인물과 사건에서 드러나는 특징
- 소설로서 지니는 특징
- 외국 문학 작품과 비교하여 우리 문학의 보편성을 파악
금성 5. 한국 문학이 걸어온 길
(2) 서사 문학의 흐름과 특질
- 만남과 이별의 반복 구조
- 설화 문학의 특성과 비교
미래엔 2. 문학의 수용과 생산
(1) 문학 감상의 맥락
- 작품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따른 이해
- 상호텍스트적 맥락에 따른 이해 (비슷한 구조 작품과 비교)
비상 4. 한국 문학의 역사
(2) 조선 시대의 문학
- 서사 갈래로서 작품이 지니는 특징
- 설화와 소설 갈래의 특징
- 후대 소설에 미친 영향
창비 3. 한국 문학의 성격과 역사
(2) 한국 문학의 갈래별 전개
- 서사 갈래의 전개 양상
- 현대 소설에도 환상적 요소가 널리 사용됨
지학사 4. 한국 문학의 흐름
(2) 서사 갈래의 흐름
- <김현감호> 학습활동 (설화와 비교)

 

728x90

'작품 해설 >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복사저포기(김시습)> 해설  (0) 2023.08.17
<흥보가> 해설  (0) 2023.04.03
<조웅전(작자 미상)> 해설  (0) 2023.03.27
[중2] 만화 <춘향전> 정리  (1) 2022.11.28
<춘향전> 정리  (0) 2022.11.28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