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28
728x90

○ 소설을 재구성한 만화의 표현 방식

표현 방식 기능
- 만화의 기본 단위
- 내용의 중요도에 따라 크기를 달리하여 표현함.
그림 - 시공간 & 등장인물의 표정, 행동을 표현.
- 대사가 없는 장면에서도 그림만으로 상황이나 심리 표현 가능
말풍선 - 등장인물의 대사와 생각 표현
- 시각적 이미지, 말풍선 모양 & 글꼴 변화를 통해 말의 느낌을 살림

 

○ 소설 → 만화 재구성의 효과

1. 생동감 있는 표현, 시각적 효과로 흥미를 끌 수 있음.

2. 칸과 칸 사이에 생략된 내용을 유추해 보는 재미.

 

 

1. 크게 외치는 말풍선

2. 의성어, 의태어 (생동감, 행동 구체화)

 

- 시를 듣고 놀란 인물의 심리를 알 수 있음

- 원작과 다른 점 (원작에서는 운봉만 어사또의 정체를 눈치챔)

 

- 글꼴 다름, 말풍선 크게 함 (장면 강조)

- 핵심 사건, 이야기의 반전을 강조하기 위해 (분위기 전환, 긴장감 고조)

 

- 시간의 흐름 표현. 다음 사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함

 

- 글씨체: 춘향을 떠보려는 어사또의 의도를 강조함

- 춘향의 말풍선: 어사또의 부당한 요구에 어이없는 심리 강조

 

- 대화를 절제하고 상황 전달에 초점

- 배경색을 화려하게 하여 재회의 기쁨을 표현

- 이어지는 사건을 압축적으로 제시함

728x90

'작품 해설 >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생규장전(김시습)> 해설  (0) 2023.03.29
<조웅전(작자 미상)> 해설  (0) 2023.03.27
<춘향전> 정리  (0) 2022.11.28
<양반전(박지원)> 해설  (0) 2022.06.03
<유충렬전> 해설  (0) 2022.06.03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