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24
728x90

 

*수록 교과서

신사고 문학 3. 한국 문학의 성격과 위상 (1) 한국 문학의 성격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풍자)
동아(김) 문학 1. 문학의 본질 (1) 왜 문학인가 주제 의식과 작품의 미적 특징
- 작가가 시대와 인물을 어떻게 담아냈는지 살펴보면서 문학의 윤리적 기능과 미적 기능을 알아본다.

 

 

갈래   단편소설, 세태소설, 풍자소설

성격   풍자적, 해학적, 현실비판적

배경   (시간) 광복 직후 (공간) 서울

시점   전지적 작가시점

주제   권력에 편승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인간상과 당시 세태 비판

출전   『대조』(1946)

특징

1. 역순행적 구성

2. 판소리 사설체를 사용, 서술자의 개입 나타남

3. 풍자와 비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행적을 사실적으로 드러냄

4.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드러냄   

 

 

 

풍자는 모순의 발견으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부정적 대상에 대한 비판 정신의 소산이다. 풍자 기법은 대상을 정면으로 공격하기보다는 에둘러 들춰냄으로써 그 비판이 강화된다. 주지하다시피 채만식은 풍자를 가장 잘 사용한 현대 소설가 중 한 사람이다. 그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풍자 소설을 썼는데, 그중에서도 채만식 문학의 기조를 이루는 것은 아이러니이다. 더불어 인물 희화화도 그의 풍자 소설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한 요소이다. 이때 사용하고 있는 아이러니와 희화화는 조선 후기 풍자 소설의 특성과 일맥상통한다.

 

○ 인물 희화화

-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유도함
- 등장인물에 대해 객관적인 거리를 유지하면서 소설을 읽도록 함
- 골계미를 느끼도록 함 (대상을 역전시키는 과정에서 유발되는 웃음의 미학)
- 판소리, 탈춤의 요소와 비슷함

 

미스터 방 - 그 툭 나온 눈방울을 부리부리, 왼편으로 삼십 도는 넉넉 삐뚤어진 코를 벌씸벌씸해 가면서 그래 쌓는 것이었다. (과장적 묘사)

- 시꺼먼 손등으로 입술을 쓱, 손가락으로 김치 쪽을 늘름 한 점, 그러던 버릇이, 미스터 방이요, 신사요, 방 선생으로도 불리어지는 시방도 무심중 절로 나와, 손등으로 입술의 맥주 거품을 쓱 씻고 손가락으로 라조기 한 점을 집어다 으득으득 씹는다.

- 삼십을 바라보도록 남의 집 머슴살이로, 이 집 저 집 살고 다니는 코삐뚤이 삼복이었다.
백 주사 쥐 상호의 대추씨만 한 얼굴에 앙상한 노랑 수염
(외모 묘사를 통해 상황에 따라 행동과 태도를 바꾸는 성격임을 암시함)

 

○ 방삼복의 시대착오적 역사 인식

"우랄질! 독립이 배부른가?"  자신의 이익에만 정신이 발려 독립의 기쁨을 느끼지 못하고 오히려 반감을 가짐. 민족의 운명보다는 자신의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이기적 행태.
"옳아. 그렇다면 독립도 할 만한 건가 보다." 자신의 장사가 수월해지자 독립에 대한 생각이 변함. 역사와 현실에 대한 의식 없이 돈만 생각하는 이기적 행태.
"이런 옘병헐! 그눔에 경제곈 다 어디루 가 뒈졌어. 독립은 우라진다고 독립을 헌담." 재료 값이 오르자 독립에 대한 생각이 다시 부정적으로 변함. 소신 없고 기회주의적.

 

 

○ 인물, 풍자

미스터 방 - 역사와 현실에 대해 왜곡되고 속물적인 인식을 지님
- 광복 직후 혼란한 상황 속에서 권력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인 인물
백 주사 - 광복 후에도 친일 행각을 반성할 줄 모른 채 권력에 빌붙어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려는 이기적이고 탐스러운 속성
- 미천하다고 여긴 미스터 방에게 저자세로 부탁하는 모습을 통해 비열하고 기회주의적인 면모

기회주의적으로 행동하여 이익을 취하고 권력을 휘두르던 인물들을 풍자함 → 당대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

 

 

○ '양치하는 버릇'의 기능

- 자신이 대단히 세련된 사람이나 된 듯 유난스럽게 구는 방삼복의 태도를 드러내는 역할

- 해학적인 결말을 이끌어내기 위해 작가가 의도적으로 설정한 장치

 

 

 

● 2014학년도 6월 A형

<감상의 길잡이> 인물과 시대 현실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

2. 작중 인물의 태도
- 방삼복은 해방된 사회 현실에 대해 일관성 없는 태도를 보임.
- 백 주사는 몰락을 가져온 현실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보임.
- 백 주사는 갑자기 출세한 방삼복에 대해 이중적 태도를 보임.

3, 작중 인물과 시대 현실을 중심으로 감상하기
- 방삼복의 출세를 통해 해방 직후 사회의 부정적 단면을 비판적으로 드러냄.
- 현실에 대한 백주사의 부정적 태도를 통해 그의 시대착오적 역사 인식을 비판적으로 드러냄.
- 현실에 대한 방삼복의 일관성 없는 태도를 통해 그의 현실 인식에 나타난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드러냄.
- 방삼복에 대한 백 주사의 이중적 태도를 통해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기회주의적인 모습을 비판적으로 드러냄.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