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래 : 장편 소설, 계몽 소설, 연재소설
*성격 : 민족주의적, 계몽적, 설교적, 근대적
*배경
① 시간 - 1910년대 개화기
② 공간 - 경성, 평양, 삼랑진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주제 : 신교육과 자유연애 사상의 고취 및 계몽
*특징
①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
② 민족의식 고취와 자유연애 사상이라는 계몽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춤.
*출전 : “매일신보”(1917)
○ 인물 소개
*이형식 : 현실과 이상 사이에서 고민하는 개화기 인물의 전형이다. 민족을 개화시켜야 한다는 선구자적 지성과 계몽 의식을 갖추고 있으며, 선형을 동반자로 선택하여 자유연애를 실천해 보임으로써 반봉건적 사상을 드러낸다. 작가의 세계관이 뚜렷이 투영된 인물이다.
*박영채 : 봉건적 가치관을 지닌 여성의 전형이었다가 근대적 가치관을 갖춘 인물로 재탄생한다. 아버지가 정해 준 형식을 남편으로 생각하고 그를 위 정절을 지키지만 이를 지키지 못하자 목숨을 끊으려 한다.
*김선형 : 개화기 신여성의 전형이다. 미모와 새로운 가치관을 갖추었지만 형식이나 병욱만큼 투철한 계몽 의식을 갖추지는 못하였다. 이형식을 사이에 두고 박영채와 삼각관계를 이룬다.
*김병욱 : 동경에서 유학한 여성으로 진취적이고 이상적인 인물형이다. 영채가 자살을 포기하고 새로운 의식을 갖게 되는 단초를 제공한다.
○ 문학사적 평가
<무정>은 그 뚜렷한 언어 의식에 의해서 한국문학사상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이광수의 여러 작품들이 그의 불투명한 논리 전개와 구성의 미비, 그리고 마침내는 그의 비극적인 친일 때문에 신랄하게 비판되고 있기는 하지만 <무정>은 그것이 최초로 한글로 씌어진, 아니 한글 문체를 처음으로 완성¹시킨 작품이라는 점에서 지울 수 없는 가치를 지닌다. (중략) <무정>이 문학사에서 중요하게 취급될 또 하나의 이유는 그것이 최초의 연애소설이라는 데 있다. 구 가족 제도의 표상으로 그려지고 있는 박영채와 자유연애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이형식과 김선형 사이의 삼각관계는 당대 사회의 풍속적 갈등²을 가장 예리하게 포착한 설정이며, 옛날의 가치 제도와 새 가치 제도 사이의 찢김을 그대로 드러낸다. (2011-37)
¹) <무정>에서 한글 문체가 완성되었다고 평가한 것은 <무정>이 고어투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다', 현재진행형, 과거형 등을 지배적으로 사용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²) <무정>이 당대 풍속적 갈등을 포착했다고 평가한 것은 이형식이 박영채와 정혼한 사이지만 김선형을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구 가족 제도의 모순과 자유연애 사상을 제기한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무정>에서 봉건적 속박에 대한 막연한 형상과 관념적인 반항은 작가 이광수의 허위의식과 이에 기반한 당대 현실의 추상적 인식에 근거한다. 이 점은 이해조가 1900년대의 신소설에서 낡아 빠지고 생명력을 상실한 봉건제도와 봉건적 인물의 부정적 형상을 구체적인 일상생활 속에서 특정 사건을 통해 세밀하게 그려 낸 것이나 이인직이 봉건적 억압에 필사적으로 저항하는 초기 부르주아 형상을 조선조 말기의 정체경제적 모순 속에서 그린 것과 비교해 볼 때, 갈등의 긴박성과 사실성에서 현저히 뒤진다. 그리고 이는 곧바로 이광수가 내세운 '반봉건'의 허약성¹과 그가 부르짖은 근대화의 허구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¹) <무정>에 반봉건성의 허약성이 드러난다고 평가한 것은 이인직, 이해조가 <은세계>, <빈상설> 등의 작품에서 봉건 제도의 모순을 문제 삼았을 때 보여준 사실성과 긴박성이 <무정>에는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²) <무정>의 구성이나 갈등 제시에 문제가 있다고 평가한 것은 이형식이 인습에 대한 반항과 문명개화를 주장하면서도 이를 관념적으로 인식하고 있어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에 주목했기 때문이다.
형식 면 | *전대 신소설의 문체적 한계를 극복(언문일치체) *서술자의 편집자적 서술보다는 산문적 서술을 중시 *사건을 역순행적으로 배열한 구성 *인물들의 내면 심리 묘사를 강조 |
내용 면 | *자유연애, 신교육의 계몽적 사상 강조 *과학과 기술 문명에 대한 긍정적 가치관 *민족 공동체를 중시(개인보다는 민족을 우선시) |
○ 무정의 문체가 지닌 발전적 면모
*산문적 묘사체를 확립하고 실제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구어를 문학적으로 활용함.
*처음에는 진행형 시제만 사용하다가 진행과 완료 시제를 경우에 따라 엄밀히 구분하여 활용함.
*현장성을 드러내고자 할 때에는 의식적으로 과거형의 서술 대신에 현재형 서술을 활용함.
*인칭 대명사 ‘그’를 사용하기 시작하여 서술 시점에 있어서 근대적 진보를 이룸.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52607
무정(이광수)
[이 작품은] 1910년대 개화한 조선의 청춘 남녀들의 사랑을 소재로 하여 신교육과 자유연애로 대표되는 근대화의 의지나 계몽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다. *갈래 : 장편 소설, 계몽
100.daum.net
'작품 해설 > 현대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기(황순원)> 정리 (0) | 2022.11.25 |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조세희)> 신사고 해설 (0) | 2022.06.17 |
<동백꽃(김유정)> 해설 (0) | 2022.05.25 |
<비 오는 날이면 가리봉동에 가야 한다(양귀자)> 해설 (1) | 2022.05.20 |
<겨울 나들이(박완서)> 정리 (0) | 2022.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