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11
728x90

 

 


새끼오리도 헌신짝도 소똥도 갓신창도 개니빠디도 너울쪽도 짚검불도 가락닢도 머리카락도 헝겊조각도 막대꼬치도 기왓장도 닭의 짗도 개터럭도 타는 모닥불

 

*새끼오리: 새끼줄. '오리'는 '올'의 평안 방언

*개니빠디: 개의 이빨. 평안 방언.

*갓신창(가죽신의 밑창), 너울쪽(널빤지), 짚검불(지푸라기), 짗(깃털), 개터럭(개의 털)

→ 농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잘것없는 사물들이 한데 모여 타고 있음

모닥불: 합일의 의미지.

 

 

재당도 초시도 문장 늙은이도 더부살이 아이도 새사위도 갓사둔도 나그네도 주인도 할아버지도 손자도 붓장사도 땜쟁이도 큰 개도 강아지도 모두 모닥불을 쪼인다

 

*재당: 제사를 지내거나 문중 회의를 할 때 주관하던 학덕 높은 집안 어른

*초시: 과거의 첫 시험에 급제한 사람. 노인을 높여 부르는 말

*더부살이: 남의 집에서 먹고 자면서 일을 해주고 삯을 받는 일. 또는 그런 사람.

농촌 공동체의 일원(동물까지!)들이 차별 없이 평등하게 모닥불을 쬐고 있음. (평등, 화합, 조화)

 

 

모닥불은 어려서 우리 할아버지가 어미 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로 불상하니도 몽둥발이가 된 슬픈 력사가 있다

 

*모닥불: 역사의 관찰자, 이해자 / 할아버지를 떠올리게 하는 매개체

*어미 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 고아로 자란 할아버지의 어린 시절

*몽둥발이 ⓐ 신체적 장애를 안고 사는 할아버지 or ⓑ 가족이 없고 혼자 남은 것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

*슬픈 력사: 모닥불에 서린 할아버지의 고된 삶의 역사 → 공동체 차원으로 확대 가능(우리 민족의 불행)

앞의 두 연과 구분되는 내용. 우리가 견뎌 온 슬픈 역사와 현재의 정겨운 삶의 모습을 동시에 보여주는 것.

모닥불이 화합을 추구하는 공동체를 상징하는 것이라면, 그 이면에는 개인의 슬픈 역사도 포함되어 있음

 모닥불을 통해 비극적 역사와 모든 존재를 포용하는 조화와 평등의 공동체적 합일의 정신을 보여주고 있음.

 


◾ 표현상의 특징

1연 상황 묘사
열거법
(모닥불에 타고 있는 사물의 열거) → 운율 형성, 판소리와 사설 시조의 전통 계승
보조사 '도'의 반복 → (형식) 운율 형성, (내용) 모든 것이 평등하게 불을 쬐는 모습 형상화
평안도 방언의 사용 → 현실적, 향토성 부각
산문적 서술 (행을 나누지 않음)
2연 열거법 (모닥불을 쬐고 있는 사람과 동물의 열거) → 운율 형성, 판소리와 사설 시조의 전통 계승
1연과 2연의 대구 → 운율 형성
3연 과거 회상
산문체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