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어간+어미(읽고) vs 체언+조사(흙과)
ㄺ, ㄻ, ㄿ 받침은 기본적으로 뒤엣것이 발음됨. (ex | 닭[닥], 삶[삼], 읊[읍])
그러나 예외적으로 어간 받침 ㄺ은 ㄱ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ㄹ]로 발음함. (ex | 읽고[일꼬], 맑게[말께])
→ 표준발음법 11항
표준발음법 제11항 겹받침 ‘ㄺ, ㄻ, ㄿ’은 어말 또는 자음 앞에서 각각 [ㄱ, ㅁ, ㅂ]으로 발음한다. 다만, 용언의 어간 말음 ‘ㄺ’은 ‘ㄱ’ 앞에서 [ㄹ]로 발음한다. |
이때, 된소리되기는 자음군 단순화에 앞서 발생함 → 겹받침 중 후행 자음 'ㄱ'에 의한 경음화 (읽고 - 읽꼬 - 일꼬)
728x90
'언어 (문법)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ㄹ의 비음화와 유성음화 ('독립'류 한자어의 음운론) (0) | 2023.04.08 |
---|---|
모음 축약과 반모음화 (1) | 2022.12.20 |
이중모음은 음소인가? (반모음은 음운인가?) (0) | 2022.12.20 |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0) | 2022.05.03 |
음소 분석의 기준 - /ㅎ/(/h/)와 /ㅇ/(/ŋ/)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