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모음의 특징
· 단모음과 달리 자립할 수 없음
· 단모음과 결합하여 이중 모음을 이룸
· j, w의 두 종류
┌ j: 전설, 평순, 혀의 높이는 고모음보다 높음
└ w: 후설, 원순, 혀의 높이는 고모음보다 높음
모음 축약
*축약: A + B → C
(1) 단모음 + 단모음 → 새로운 단모음
사이 → 새 (ㅏ+ㅣ→ㅐ)
보이다 → 뵈다 (ㅗ+ㅣ→ㅚ)
(2) 단모음 + 단모음 → 반모음 + 단모음 (=반모음화)
└ 두 음절이 하나의 음절로 줄어드는 현상이므로 축약으로 보는 견해
└ 그러나 음운의 변동 양상을 기준으로 하면 반모음화로 보는 것이 타당
반모음화 (*교체)
○ 단모음 + 단모음 → 반모음 + 단모음
- 반모음도 하나의 음운으로 판단함
- 두 모음의 연속을 피하기 위해 반모음화 발생
- 음절 수가 하나 줄고, 보상으로 모음 길이가 길어짐 (장모음화)
└ 1음절 어간이면서 필수적 적용이 아닌 경우에만 장음화됨 (2음절 어간X 필수적 적용도 X)
└ 음절 수가 하나 줄었기 때문에 모음 축약으로 보는 견해도 있음
견디어서 → 견뎌서 (ㅣ+ㅓ→ j + ㅓ)
보아라 → 봐라[봐:라] (ㅗ+ㅏ→ w+ㅏ)
이기어라 → 이겨라 (ㅣ+ㅓ → j + ㅓ)
오아라→ 와라 (필수적 적용)
++ '오-, 지-, 찌-, 치-'는 뒤에 '아/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필수적으로 반모음화 표기함
· 오아라 X 와라 O [와라]
· 지어라 X 져라 O [저라]
· 찌어서 X 쪄서 O [쩌서]
· 치어서 X 쳐서 O [처서]
but 이것은 표기의 문제이고, '져라, 쪄서, 쳐서'는 발음할 때 [저라, 쩌서, 처서]임 → 이것은 탈락임 (j+ㅓ → ㅓ)
‘ㅈ, ㅉ, ㅊ’과 같은 경구개음 뒤에 반모음 ‘ㅣ[j]’가 연이어 발음될 수 없다는 국어의 제약 때문 (표준발음법 제5항)
2021학년도 평가원 9월 모의고사 11번 → 반모음화(교체) 출제
'언어 (문법) > 음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성적 구개음화 (5) | 2023.05.17 |
---|---|
ㄹ의 비음화와 유성음화 ('독립'류 한자어의 음운론) (0) | 2023.04.08 |
이중모음은 음소인가? (반모음은 음운인가?) (0) | 2022.12.20 |
자동적 교체와 비자동적 교체 (0) | 2022.05.03 |
음소 분석의 기준 - /ㅎ/(/h/)와 /ㅇ/(/ŋ/) (0) | 2022.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