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
05
728x90

230803

@ 반응중심 읽기 전략
문학교육 (서사텍스트)
1. 준비
2. 반응 형성
3. 반응 명료화
4. 반응 심화
준형명심

(장점) 학습자 참여형 수업 가능, 흥미, 근거에 따라 반응을 형성하고 나누는 과정에서 논리력 등 사고능력 향상 가능
(단점) 텍스트와 무관한 해석 나올 수 있음. 자기중심적이고 편협한 이해 가능성 → 토의, 토론 병행하여 합리적 반응 유도

@ 시각적 브레인스토밍
브레인스토밍을 미리 마련한 도식에 따라 진행
(장점) 구조화된 내용생성 가능

@ 최소대립쌍 설정 조건
1. 양적 대등성 → 최소대립쌍을 설정할 두 단어의 음운 수가 같아야 함
2. 질적 대등성 → 자음은 자음끼리, 모음은 모음끼리 설정되어야 함
낮/낫 등의 경우 최소대립쌍이 되려면 종성의 소리가 온전히 발음되어야 함 -->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이어져야

@ 중세국어의 특이 구문
1. 관형격 조사가 안긴문장 주어 표시에 쓰이는 경우 있음
2. 목적격 조사가 안긴문장 주어 표시에 쓰이는 경우
3. 의문문 ㄴ다 ㄹㅎ다
4. 수여동사의 부사어로 목적격 조사가 쓰이는 경우
5. 접속조사가 마지막 체언에까지 쓰이며 접속조사 뒤에 주격조사 연결

@ 의존명사 ㄷ.(아래아)
-것




@ 드리븐 - 사회적 규범 (학교에서 배우는 규범)
보편성 - 특별한 사유가 없다면 모두가 같은 규칙의 적용을 받음 (모두 같은 내용을 배우면서 습득)
성취성 - 성취도에 따라 대우받음
독립성 -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는 것 (공식적 시험을 통해 배움)
특수성 - 상황에 따라 예외도 용인됨 (학년이 올라가며 흥미, 적성에 맞는 교육을 집중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배움)

@ 호이,미스켈 학교풍토 유형
교사행동(개방, 폐쇄) 교장행동(개방, 폐쇄) 따라
개방풍토
몰입풍토 (학교장의 통제가 비효과적이지만 교사의 높은 전문적 업무 수행)
일탈풍토 (학교장은 개방적, 지원적이나 교사는 헌신적이지않음)
폐쇄풍토

@ 시네틱스
창의력 신장 교육방법
비유나 유추를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 생성
대인유추 - 사람과 사물을 연계
직접유추 - 전혀 무관한 두 대상 연관짓기
환상유추 - 터무니없는 상상하기
상징유추 - 모순, 반대되는 단어를 연관

@ 평정의 오류

  • 논리적 오류 (무관한 두 특성을 연관지어서, 하나를 잘하면 다른 것도 잘할 것이라고 봄)
  • 인상의 오류 (학습자에 관한 선입견이 작용)
  • 집중경향의 오류 (중간치에 몰림)
  • 근접의 오류 (시간적, 공간적으로 근접한 항목을 유사하게 평가)
  • 엄격의 오류 (한 가지 부정적 면으로 다른 면도 나쁘게 평가)
  • 관대의 오류 (한 가지 긍정적 면으로 다른 면도 좋게 평가)
  • 대비의 오류 (평가자 자신에게 없는 특성을 높게 평가)


해결방법
- 사전에 루브릭을 통해 평가 기준 명확히 세움
- 평가자를 여러 명으로 함
- 블라인드 평가
- 채점자 사전 교육 및 훈련

@ 브룸 - 기대이론
성과기대 → 노력하면 성과 낼 수 있다는 믿음
보상기대 → 성과를 내면 보상을 받는다는 믿음
유인가 → 보상의 매력도

@ 타바 - 귀납적 교육과정 개발
단원 개발부터 시작해서 교과 만들어감 (=귀납적)
학습내용과 학습경험 구분하여 개발
교육과정 개발 주체가 교사임 (학습자의 요구를 교사가 직접 분석. 타일러는 외부 전문가가)

(장점) 학습경험을 고려하므로 수업 스즌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전개할 것인가에 대한 답을 제공
교사 중심으로 현장 지향적

(단점) 교사의 전문성이 부족하면 실패함
단원 개발에 천착하여 전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로 나아가지 못할 우려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