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상징적, 남성적, 지사적
주제: 극한 상황에서의 초월적 인식
특징 ⓐ 한시의 '기-승-전-결' 구조와 유사
ⓑ 역설적 표현을 통해 주제 형상화
ⓒ 강렬한 상징어와 남성적, 의지적 어조로 강인한 의지를 표출함
ⓓ 현재형 시제를 사용하여 긴박함 부여, 대결 의식 드러냄
매운 계절의 채찍에 갈겨
마침내 북방으로 휩쓸려 오다.
▶1연: 수평적 공간에서의 극한 상황 (기)
* 매운 계절: 시간적 배경(겨울). 일제 강점기의 가혹한 현실.
* 채찍: 탄압, 시련
* 북방: 공간적 배경. 극한 상황(수평적)
하늘도 그만 지쳐 끝난 고원(高原)
서릿발 칼날진 그 위에 서다
▶2연: 수직적 공간에서의 극한 상황 (승)
* 고원: 공간적 배경. 극한 상황(수직적)
* 서릿발, 칼날: 고통, 시련
* 서릿발 칼날진 그 위: 생존의 극한 상황. '절정'
* 그 위에 서다: 화자의 대결 정신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 3연: 극한 상황에서의 화자의 심리 (전)
* 어데다 무릎을 꿇어야 하나?: 무릎을 꿇는 것은 패배를 인정하거나, 또는 절대자에게 구원을 비는 행위.
그럴 수 없는 극한 상황에서 화자가 느끼는 심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함.
* 재겨 디딜: 제겨 디딜. 틈을 비집고 찔러 넣어 디딜. 발끝이나 발꿈치만으로 땅을 디딜.
* 한 발 재겨 디딜 곳조차 없다: 심리적 극한 상황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4연: 극한 상황을 초극하려는 의지 (결)
* 이러매 눈 감아 생각해 볼밖에: 인식의 전환
* 겨울, 강철: 시련의 시간
* 무지개: 희망, 황홀
*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역설적 인식을 통한 극한 상황의 초월
ㄴⓐ 겨울(일제)은 강철처럼 지속될 것 같지만 무지개처럼 금세 사라질 대상이라는 해석
ⓑ 겨울은 더 이상 나빠질 것이 없으므로, 무지개로 나아갈 것이 강철처럼 확실하다는 해석
* 관조적 어조로 초극 의지를 보여줌.
*시어의 특징
- '매운', '갈겨', '칼날진'은 남성적 이미지의 시어
- 현실의 극한 상황 표현+그것을 극복하려는 시인의 지사적 의지와 신념을 드러냄
*시상 전개 방식
- 한시의 전형적 구성 방식인 기승전결의 4단 구성
- 전반부(기, 승): 시적 상황 제시
- 후반부(전, 결): 화자의 의식 세계
- 따라서 전체적으로 선경후정의 전개 (외면 세계-내면 세계)
*시적 형상화 방식
- 현재형 시제로 긴박함 부여, 대결의식 표현.
- 북방→고원→서릿발 칼날진 그 위: 극한 상황을 점층적으로 표현
- '강철로 된 무지개': 강인한 이미지+부드러운 이미지의 결합 → 역설적, 함축적
- 간결한 표현(생략과 압축)→절제된 감정을 드러냄
*화자의 태도
- 관조적 (극한 상황을 객관화하여 바라봄)
- 의지적
'작품 해설 > 현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라(백석)> 정리 (0) | 2021.11.25 |
---|---|
<별 헤는 밤(윤동주)> 정리 (0) | 2021.11.19 |
<참회록(윤동주)> 정리 (0) | 2021.11.19 |
<자화상(윤동주)> 정리 (1) | 2021.11.18 |
<산유화(김소월)> 정리 (0) | 2021.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