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판정 의문문 | 설명 의문문 | |
용언 어간 + 어미 | -녀 -ㄴ가 -ㄹ가 |
-뇨 -ㄴ고 -ㄹ고 |
체언 + 의문 보조사 | 가 / (모음이나 ㄹ 뒤에서) 아 | 고 / 오 |
*2인칭 주어일 때 | -ㄴ다 (특수한 의문형 어미) |
*예시 | 판정 의문문 | 설명 의문문 |
용언 어간 + 어미 | 부톄 世間에 나샤미신가 (부처가 세간에 나신 것인가?) |
菩薩이 어느 나라해 ᄂᆞ리시게 ᄒᆞ려뇨 (보살이 어느 나라에 내리시도록 하려는가?) 이 두 말ᄋᆞᆯ 어늘 從(종)ᄒᆞ시려뇨 (이 두 말을 어느 것을 따르시겠습니까?) 어느 사ᄅᆞ미 少微星이 잇다 니ᄅᆞ던고 (어떤 사람이 소미성이 있다고 말하던가?) 어늬 구더 兵不碎(병불쇄)ᄒᆞ리ᅌᅵᆺ고 (어느 것이 굳어 군대가 부수어지지 않겠습니까?) |
체언 + 의문 보조사 | 이 ᄯᆞ리 너희 죠ᇰ가 (이 딸이 너의 종인가?) |
얻논 약이 므스것고 (얻는 약이 무엇인가?) 엇뎨 일훔이 선야오 (어찌 이름이 선야인가?) |
*2인칭 주어일 때 | 네 엇뎨 아니 가ᄂᆞᆫ다 (네가 어찌 안 가는가?) 그듸ᄂᆞᆫ 보디 아니ᄒᆞᄂᆞᆫ다 (그대는 보지 않는가?) 네 뉘손ᄃᆡ 글 ᄇᆡ혼다 (너는 누구에게서 글을 배웠는가?) 네 모ᄅᆞ던다 (너는 모르느냐?) 네 엇뎨안다 (너는 어떻게 아느냐?) |
728x90
'언어 (문법) > 중세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ㄹ의 모습이 일관되지 않는 합성어 - 발가락, 소나무, 이튿날 (1) | 2023.06.07 |
---|---|
한글의 창제 원리 [중2] (1) | 2022.11.26 |
[중세국어] ㅎ종성 체언 (ㅎ 곡용 체언) (0) | 2022.07.14 |
[중세국어] 아래아의 변화 (0) | 2022.07.14 |
[중세국어] 단모음과 이중 모음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