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중등임용 2018년 A형 13번
오륜시가는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창작되었고, 여러 장르에서 다양한 표현 방식을 창출하면서 전개되었다.
조선 전기 악장 <오륜가>에서부터 주세붕의 시조 <오륜가>, 조선 후기 곽시징의 가사 <오륜가> 등이 그 예라 할 수 있다.
성리학적 이념에 따라 건국된 조선은 윤리적 교화로써 공동체의 질서를 세우고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오륜시가를 지어 보급하였다. 오륜 교화의 목적은 상하를 분별하여 낮은 위치에 놓인 사람이 높은 위치에 놓은 사람에 대해 오륜의 도리를 당위적으로 실천하게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화 대상자를 설득하기 위해 문학적 장치가 필요했다.
오륜시가의 작가는 작품 속 인물에 따라 전달 방식을 달리함으로써 독자는 의무적 수용 혹은 자발적, 성찰적 수용 사이에 놓이게 된다.
728x90
'문학 > 개념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70년대] 광주 대단지 사건 (0) | 2022.06.17 |
---|---|
서사시 개념, 예시 작품 (0) | 2022.06.15 |
반어와 역설의 예시 (0) | 2022.05.19 |
설화, 전설, 민담 (0) | 2022.05.12 |
상호 텍스트성을 가진 두 작품의 비교 기준 (0) | 2022.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