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31
728x90

○ 교수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체계적인 계획을 세욱 계획을 수행해 나가는 과정

교수학습의 계획, 실행, 평가에 관한 전 과정

 

○ 교수설계의 목적

기대되는 학습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최적의 수업과정을 처방하기 위함

 

○ 교수설계의 특징

- 목적 지향적 (교육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분명함)

- 학습자의 학습이 잘 일어나게 하기 위한 것 (학습자 중심)

- 실제적 수행 향상을 목적으로 함

- 이론+실증

 

*거시적 교수설계   교육 훈련 프로그램 체제 및 교육과정 선정

*미시적 교수설계   소규모 수업, 단위 차시 수업의 전략 및 교수방법 결정

 

 

체제적 교수설계

 

○ 체제 (System)

- 상호 관련된 구성 요소의 집합

- 구성 요소가 목표 달성을 위해 유기적으로 연결됨

   └ 수업 = 교사 + 학습자 + 교재 + 학습 내용

- 비선형적, 비순차적, 역동적, 상호작용적

 

기대 수준에 현재 수준이 못미치는 경우, 그 원인을 다방면적으로 분석해서 처방하는 것

 

01. ADDIE 모형  - 교수 설계의 일반적 과정

Analysis (분석)

요구 분석   왜 필요한가?
학습자 분석   인지적 특성, 신체적 특성, 정의적 특성, 사회적 특성

   분석 방법
  - 학생 정보 문서 확인
  - 직접 학생에게 요구조사나 설문
  - 주변 사람에게 학습자에 대해 물어보기
  → 실제적 데이터 자료에 기반하여 분석
과제 분석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가?  (▶ 최종 산출물 : 수행목표)
  - 하위기능 분석으로 학습내용을 체계적으로 쪼개고 조직하기
  - 위계 분석, 군집 분석, 절차 분석 (링크)
환경 분석   - 학습 환경에 주어진 물리적 환경이 어떠한가?
  - 기관이나 조직의 특성은?

 

Design (설계)

수행목표 진술   (=명세화) 과제 분석의 결과를 전부 '~을 할 수 있다' 형태로 적기
평가도구 설계   진술한 수행 목표를 각각 어떻게 평가할 것인지 정하기
학습내용 계열화   학습 내용, 활동의 제시 순서를 결정
교수전략 진술   분석 단계의 결과를 근거로 도입, 전개, 정리 등을 어떻게 할 것인지
  조사된 특성에 기반해야 함

 

Development (개발)

   - 교수 및 학습자료 개발 (ppt, 활동지, 지도안, 쪽지 시험, 영상자료 등)

 

Implementation (실행)

   - 실제 교육의 수행

 

Evaluation (평가)

   - 설계, 개발, 실행 전반에 대한 평가활동

   - 형성평가 (개선을 위해 중간에 실행)

   - 총괄평가 (매력성, 효과성, 효율성)

   -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시 분석 단계로 돌아갈 수 있음

 

 

02. ASSURE  - 교수 매체의 선정 절차

Analyze learner 학습자 분석

   - 당신이 가르칠 학습자는?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 수업의 학습 목표는?

Select media 매체 선정

   - 단원의 특성에 맞는 매체는?

Utilize 매체 활용

   - 실제 수업에의 적용

Require learners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 연습 기회 제공, 피드백 제공

Evaluation 평가

   - 수업 평가, 수정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