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교체 (=음운론적 이형태)
어간의 끝소리가 | 예 |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일 때 | |
-ᄉᆞᆸ- | ㄱ, ㅂ, ㅅ, ㅎ | 머리 좃ᄉᆞᆸ고 | -ᄉᆞᇦ- |
-ᄌᆞᆸ- | ㄷ, ㅈ, ㅊ | 그 말 듣ᄌᆞᆸ고 |
-ᄌᆞᇦ- |
-ᅀᆞᆸ- | 모음, ㄴ, ㅁ, ㄹ | 太子를 보ᅀᆞᆸ고 |
-ᅀᆞᇦ- |
728x90
'언어 (문법) > 중세국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세국어] 성조 (평성, 거성, 상성, 입성) (0) | 2022.05.08 |
---|---|
[중세국어] 단모음 체계 (0) | 2022.05.03 |
[중세국어] 자음의 발음 (쌍이응, 쌍히읗, 여린히읗 등) (0) | 2022.04.12 |
[중세국어] 유성마찰음 '두부' (0) | 2021.12.10 |
[중세국어] 이어 적기와 끊어 적기(연철과 분철) (0) | 2021.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