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장승상 부인' 대목에 관한 논의
(1) 유영대(1994) - 공양미 삼백석을 대신 내줄 만큼 돈 많은 사람이 필요해서 등장. 양반층의 기호에 맞추어 심청의 신분을 상승시키기 위함.
(2) 김종철(2013) - 서사의 확충을 위해 등장. (양반층의 요구 x, 효성의 사회적 공인x)
◾ 설화
효녀 지은 설화
거타지 설화 : 신라 때, 설화의 하나. 신라 진성 여왕의 아들 양패(良貝)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갈 때 궁사로 따라가던 거타지가 서해 용왕의 부탁으로, 승려로 변신하여 용왕의 가족을 괴롭히던 늙은 여우를 활로 쏘아 죽이고 용왕의 딸과 결혼하여 행복하게 살았다는 내용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편> <진성 여왕 거타지조(居陀知條)>에 실려 있다.
인신공희 설화
◾ 경판본과 완판본
경판본은 판소리와 관계 없이 설화가 소설화된 작품이며, 완판본은 판소리로 불리다가 소설로 정착된 작품이다.
이본들 중 공통 줄거리에 가장 가까운 것은 경판본계열이고, 완판본계열로 가면 더 많은 내용이 첨가된다.
경판본 | 완판본 |
단순, 소박하고 차분하게 짜여진 양식 과거의 전아한 멋을 지닌 간결, 소박한 산문체 심봉사는 유교적 이념에 충실한 인물 |
복잡, 장황하고 들떠 있는 양식 푸짐한 형용사나 감탄사는 물론, 삽입가요 · 잔사설 · 고사성어 · 한시 등을 끌어들여 부연, 윤색된 율문체 심봉사가 세속적, 현실주의적 인물로 등장 경판본보다 훨씬 더 많은 등장인물과 사건 이들 중 대부분은 작품의 후반부에 등장하여 심봉사를 희화화시키는 기능 장승상 부인은 심청이 추구하는 유교적 관념에 이의를 제기하고 현실적 해결방법을 내놓는 인물로서 기능 |
728x90
'작품 해설 >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충렬전> 해설 (0) | 2022.06.03 |
---|---|
<용소와 며느리바위> 해설 (금기의 기능) (1) | 2022.05.12 |
<홍계월전> 해설 (6) | 2022.04.21 |
<구운몽(김만중)> 정리 (0) | 2022.03.24 |
<최척전(조위한)> 해설 (0) | 2022.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