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
24
728x90
갈래  고전 소설, 장편 소설, 몽자류 소설
성격  환상적, 불교적
배경  시간: 중국 당나라 때
 공간: 현실 - 중국 남악 형산 연화봉
         꿈속 - 중국 회남도 수주 땅, 장안(당나라 수도), 변방 지역 등
시점  3인칭 전지적 시점
주제  꿈을 통해 부귀영화의 덧없음을 깨닫고 삶의 진정한 가치를 추구함
특징  1. 환몽 구조, 액자식 구성을 지님
 2. 현실 공간과 꿈속 공간이 모두 환상적으로 그려짐
 3. 조선 시대 사대부의 입신양명에 대한 욕망이 투영됨
 4. 불교적 색채가 두드러짐
 5. 설화 <조신지몽>의 영향을 받음

 

 

발단  성진이 팔선녀를 만남
전개  성진이 양소유로 태어나 부귀영화를 누림
절정  양소유는 부귀영화가 덧없음을 깨닫고 도를 찾아 떠나려 함
결말  현실(성진 행자)로 돌아와 불도에 정진

 

 

 

○ <구운몽>의 이야기 구조 - 환몽, 액자식, 일대기적 구성

(1) 환몽 구조

현실 ─(입몽)→ ─(각몽)→ 현실

 

(2) 액자식 구조

외화: 현실, 성진의 이야기

내화: 꿈, 양소유의 이야기

  현실 (외화) 꿈 (내화) 현실 (외화)
공간 신선계, 천상 인간계, 지상 신선계, 천상
성격 비현실적, 초월적 현실적 비현실적, 초월적
사상 불교 유교 불교
인물 성진+8선녀 양소유+2처6첩 성진+8이고(비구니)
성진 세속적 욕망으로 번뇌
계율을 어기고 벌을 받음
세속적 욕망의 성취
여덟 여인과 인연을 맺고 부귀공명을 누림
깨달음, 득도
대중을 교화하는 데 힘쓰다 극락왕생

 

cf. 몽자류 소설 vs 몽유록 소설

  몽자류 소설 몽유록계 소설
구조 현실 - 꿈 - 현실, 액자 구조
환몽 구조 몽유 구조
꿈 속 인물 새로운 인물 동일한 인물
꿈의 성격 현실과 별개 현실과 이어짐
꿈의 기능 현실에 대한 깨달음을 얻는 공간 꿈을 단순 서술
현실 비판을 위한 수단

 

(3) 일대기적 구성

꿈속 양소유의 삶은 일대기적 구성을 보임

 

 

 

○ 제목의 의미

구 - 인물 (성진+8선녀 / 양소유+2처 6첩)

운 - 주제 (구름처럼 덧없는 인생, 인생무상)

몽 - 구성 (꿈을 통한 깨달음)

 

 

 

○ 성진의 깨달음 (주제 의식이 드러난 부분)

"어찌 인생이 덧없지 아니한가?"

→ 인간 세상의 모든 부귀영화를 누렸지만, 문득 삶은 영원하지 않고 시간이 흐르고 나면 모두 사라진다는 것을 깨달음

 

 

 

○ 이름 '성진'과 '소유'의 의미

소유 少(적을 소) 遊(놀 유) : 잠깐 놀다, 짧은 시간 동안 즐기다

성진 性(성품 성) 眞(참 진) : 참된 본성을 깨닫는다

 

 

 

○ 배경 사상

  어디서 확인? '양소유'의 생각
유교 입신양명
효 (-교과서에는 없음)
생전의 사업과 죽은 뒤 이름을 남길 뿐임
불교 신선, 용왕, 선녀 구하여 얻은 자가 드묾 (ex. 진시황, 한 무제, 현종 황제)
도교 공 사상 꿈속에서 매양 포단 위에서 참선하는 모습을 봄 - 불가와 인연

 

 

 

EBSi 국어교과서 속 문학 (정소영 선생님), 천재교육 자습서

728x90

'작품 해설 > 고전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충렬전> 해설  (0) 2022.06.03
<용소와 며느리바위> 해설 (금기의 기능)  (1) 2022.05.12
<홍계월전> 해설  (6) 2022.04.21
<심청전> 해설  (0) 2022.03.14
<최척전(조위한)> 해설  (0) 2022.03.03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