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13
728x90

 

 

갈래: 자유시, 서정시

성격: 상징적, 의지적, 자연 친화적, 예찬적

제재: 산

주제: 산에 기거하며 산을 닮고자 함

특징

ⓐ 속세와 자연의 대비가 뚜렷함

ⓑ 산의 장점을 열거함

ⓒ 역설적 표현을 통해 산에 살고자 하는 마음을 강조함

출전 『창작과 비평』 (1970)

 

오늘, 북창을 열어,  산을 보기 위한 행동 (=산을 가까이 하고자 함)
 *북창: 산을 볼 수 있는 통로, 산과 속세를 연결하는 매개물
장거릴 등지고 산을 향하여 앉은 뜻은  *장거리: 속세 (↔산과 대조)
사람은 맨날 변해 쌓지만  → 사람(=장거리, 속세)의 속성: 가변성
태고(太古)로부터 푸르러 온 산이 아니냐.  → 산의 속성 1 - 불변성, 영속성
 *산이 아니냐: 설의법
고요하고 너그러워 수(壽)하는 데다가  → 산의 속성 2 - 고요함, 너그러움, 오래 삶
 *수하다: 오래 살다.
보옥(寶玉)을 갖고도 자랑 않는 겸허한 산.  → 산의 속성 3 - 겸손
 *보옥: 보석. 긍정적 속성. 가치.
마음이 본시 산을 사랑해  
평생 산을 보고 산을 배우네.  산을 예찬하고 지향하는 태도.
그 품안에서 자라나 거기에 가 또 묻히리니  탄생부터 죽음까지 산과 함께 하고 싶은 마음.
내 이승의 낮과 저승의 밤에  
아아(峨峨)라히 뻗쳐 있어 다리 놓는 산.  *아아라히: 산이나 큰 바위 같은 것이 아슬하게 치솟은 모양.
산을 인간의 이승과 저승을 연결하는 존재로 간주함.  - '거기에 가 또 묻히리니(죽음)', '네 품이 내 고향(탄생)'과 연결되어, 평생 산과 함께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냄
네 품이 내 고향인 그리운 산아  -돈호법, 의인법, 말을 건네는 방식
 *네 품이 내 고향: 삶의 시작, 자신의 근본이 산에 있다는 인식
미역취 한 이파리 상긋한 산 내음새  *상긋한 산 내음새: 후각적 심상
산에서도 오히려 산을 그리며  -역설법 (산에 대한 그리움 강조)
꿈 같은 산정기(山精氣)를 그리며 산다.  *꿈 같은: 직유법
 *산정기: 산의 긍정적 가치 (영속성, 고요함, 너그러움)
 자연 속에서 살고자 하는 태도 + 산의 덕목을 닮기를 원함

 

 

○ 한국 문학의 자연 친화적 특질

- 현실에서 벗어날 수 있는 도피처로서의 자연

- 자연의 아름다움과 자연과 벗하는 즐거움을 노래함

- 인간으로서 추구해야 할 덕목을 자연으로부터 배우고자 함

 

 

*관련 작품

[작품 해설/현대시] - <이니스프리 호수 섬(W. B. 예이츠)> 해설

 

<이니스프리 호수 섬(W. B. 예이츠)> 해설

갈래: 자유시, 서정시, 낭만시 성격: 낭만적, 의지적, 전원적 제재: 이니스프리 호수 섬 주제: 자연 속에서의 평화로운 삶에 대한 동경 특징 ⓐ 시각적, 청각적 이미지의 시어 사용 ⓑ 반복적 이미

ez-gugeo.tistory.com

 

 

 

728x90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