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고전소설에서 전란의 기능 (2013 임용1차 31)
(1) 주인공의 지향 가치를 성취하는 데에 장애가 됨
(2) 주인공의 지향 가치를 성취하는 계기가 됨
○ 애정 전기소설 (2013 임용1차 31)
이생규장전(문예에 조예가 있는 남녀의 애정 결합과 비극적 이별)
→ 이후 애정류 전기소설인 <주생전>, <운영전>에 계승
○ 공간적 배경을 중국으로 설정한 효과
- 독자에게 낯선 느낌과 흥미
-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할 때 다루기 어려운 내용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음
○ 조선 후기 서적의 유통 방식
(1) 전기수 = 전문 낭독가
- 중요한 부분에서 이야기를 멈추어 돈을 받기도 함 (=요전법)
- 부유한 집에 찾아가 읽어 주는 부류 / 사람의 왕래가 많은 장터 등에서 읽어주는 부류
- 주로 한양에 있었고, 지방에도 한둘 있었음
(2) 책쾌 = 서적 중개상
(3) 세책가 = 영리 목적의 개인 도서관
- 18세기 후반, 책을 필사하여 대여 → 여러 사람이 읽어도 찢어지지 않게 양질의 종이 사용
- 한양에만 있었고, 주고객은 부녀자
728x90
'문학 > 개념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10 보기] <정수정전>에서 여성의 역할 (0) | 2022.03.03 |
---|---|
가전 문학이란? (0) | 2022.03.02 |
늙음을 화제로 삼는 시조들 (1) | 2022.03.01 |
[2015 수능] 고전 소설에서 공간 (0) | 2022.02.26 |
고전소설의 이야기 구조 (모티프/설화/화소) (0) | 2022.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