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부호형 안 시켜줘서 도둑된 초능력자가 자기 나라 건설하는 이야기
갈래 국문, 사회소설, 영웅소설
성격 현실 비판적, 영웅적, 전기적, 우연적
시점 전지적 작가 시점
배경 (시간적 배경) 조선시대
(공간적 배경) 율도국
주제 모순된 사회 제도 개혁과 이상국 건설, 적서 차별에 대한 비판과 저항, 탐관오리 응징과 빈민 구제
의의 현전 최초의 한글 소설
불합리한 사회 제도에 대한 저항정신이 반영된 현실 참여 문학
"하늘이 사람을 낼 때에 귀한 집 자식이라고 하여 재주를 넉넉히 주고, 천한 집 자식이라 하여 인색하게 주지 않는다." (유민론, 허균)
"천하에 두려워할 만한 자는 오직 백성뿐이다." (호민론, 허균)
*'호민'은 부당한 대우에 과감하게 대응하는 백성을 말함
서자라 하여 인재를 쓰지 않는 것은 낭비라는 의식과 백성을 가볍게 여기는 지배층을 비판하고자 하는 의식이 있었음
@ 홍길동전에 나타난 당대 사회상
· 적서 차별
1. 길동은 홍 판서와 그의 계집종 춘섬 사이에 태어난 서자로, 천한 출생 때문에 호부호형하지 못함
문관뿐만 아니라 무관 응시에도 제한이 있었음
2. 길동은 병조 판서를 제수받은 후 직책을 수행하지 않고 이상세계(율도국)로 떠남
→ 조선 봉건질서 안에서는 서자가 병조 판서가 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상세계에서만 가능
→ 적서 차별의 벽이 높았음
· 입신 양명
병조 판서를 요구하는 것은 그것이 홍길동의 꿈이었기 때문
· 무속 신앙의 팽배
곡산 어미(초란, 아버지의 애첩)가 관상을 잘 보는 여자를 이용해 길동을 죽이려 함
· 지배층의 부정부패
백성을 도적의 길로 내모는 지배층의 부정부패
· 충효의 유교적 윤리 사상
인형(길동의 형)은 동생 길동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아니라, 아버지와 가문의 안위를 들어 길동을 설득함
@ 독립적, 진취적인 영웅
영웅의 일대기 구조가 드러나지만,
- 천상인이 아닌 점 (적강 모티프가 드러나지 않은 점)
- 조력자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고난을 극복하는 점
에서 다른 영웅 소설에 비해 독립적이고 진취적인 인물임을 보여줌
@ <홍길동전>의 갈등
1. 가정에서 아버지와 겪는 갈등
2. 사회에서 임금과 겪는 갈등
→ 병조 판서로 임명되며 차별을 극복하지만, 이는 신분제도를 인정한다는 전제 하에 이루어진 것이어서 불완전
→ 전기적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 것은 현실적 방법으로 개혁이 불가능하다는 절망적 상황을 드러냄
@ 장길산
"옛날 장충의 아들 길산은 천한 소생이로되, 열세 살에 그 어미를 이별하고 운봉산으로 들어가 도를 닦아서 아름다운 이름을 후세에 전하였으니, 소자도 그를 본받아 세상을 벗어나려 합니다."
장길산은 조선 숙종 때 황해도 구월산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활동한 도둑의 우두머리로,
이 작품이 쓰인 때로부터 약 100년 뒤 인물임 **
→ 작품이 후대로 전해지는 과정에서 내용이 덧붙여졌음을 알 수 있음
(1) 자신도 사회적 억압을 이겨내고 큰 사람이 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기 위해
(2) 자신을 걱정하는 어머니를 안심시키기 위해
@ 방을 붙인 까닭
길동은 함경 감영을 습격한 후, 자신이 돈과 곡식을 훔쳐갔다는 방을 붙임
→ 자신의 행동이 정당하다고 생각하며, 당당하기 때문 (의적의 면모)
🔑 출제 키워드
홍길동전에 드러난 당대 사회상
결말의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