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
03
728x90

○ 한국 문학의 개념

(지학사)

- 우리 민족이 한반도와 그 주변에 살면서 각 시대의 역사적 생활 공간에서 지금껏 이루어 온 문학의 총체

- 한국인이 한국어를 통해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문학 

- 창작과 항유의 주체, 수단이 되는 언어, 작품에 담긴 주제 등의 요소가 관련돼 있음 

 

+한문 문학에 대해

- 한문 문학은 중국의 문자를 사용한 것이지만 한국 문학에서 제외할 수 없음

- 한글이 창제되기 전에는 한자 사용이 불가피했고, 그 후에도 19세기 이전까지는 한자가 동아시아 문화권의 보편 문어 역할을 했기 때문

- <송인(정지상)>의 경우 비록 한문이지만 우리나라 지명이 등장하고, '이별의 정한'이라는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상을 담고 있음

 

(신사고)

- 한민족

의 사상과 감정, 체험과 상상을 형상화한 언어 예술

- 언어의 성격에 따라 구비 문학, 한문학, 국문 문학 세 영역으로 구분

- 한국의 고전 문학부터 현대 문학까지 포괄

- 공간적으로는 한반도에서 생산된 문학뿐 아니라 재외 동포가 한국어로 생산한 문학과 분단 이후 북한 문학도 포함할 수 있음

 

 

(비상)

- 한국인이 한국인의 사상과 감정을 한국어를 통하여 표현한 문학

- 한글 창제 이전에는 동아시아의 공동 문어인 한자를 표기 수단으로 사용하였음. 따라서 한자로 표현되었더라도 우리 민족의 고유한 생활과 의식을 담고 있으면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음.

 

- 전승 방식에 따라 구비문학과 기록 문학으로 나누고, 기록 문학은 표기 방식에 따라 한문 문학과 국문 문학으로 나눔

- 차자 문학도 한자를 빌려 우리말을 표기한 것이므로 국문 문학으로 볼 수 있음

 

 

○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지학사)

내용의 측면에서

- 한의 정서

- 감정의 응어리를 집단으로 발산하고 표출하는 신명

- 현실의 모순과 불합리성을 폭로하고 웃음을 유발하는 해학이나 풍자

- 자연 친화 의식 / 불의한 현실에 타협하지 않으려는 지조와 절개

- 격식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균형과 조화룰 추구하는 멋

 

양식적 측면에서

- 형식적 정제미

- 음보율 중심의 운율 감각

- 함축과 여운


(신사고)

◾ 주제 의식과 가치관의 측면에서

- 한  (고난과 상처, 이별 등을 통해 형성되는 슬픔과 아픔이 응결된 것)

- 자연 친화  (자연의 풍광을 그리거나 자연물을 이용하여 정감을 표현한 작품, 자연을 관조와 사색 대상으로 삼은 작품)

 

 미의식의 측면에서

- 풍자  (부정적 현상이나 모순을 직접 말하지 않고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

- 해학  (대상을 가볍고 악의 없는 웃음으로 그려내는 방법)

- 일상의 고통을 한바탕 놀이로 승화하는 흥

- 고상한 품격이나 운치를 추구하는 멋과 풍류

- 인간과 현실 중심의 가치관 / 애처로움과 갸날픔 / 은근과 끈기 등

 

표현 형식 측면에서

- 3음보나 4음보를 기본으로 하는 율격 구조

-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여성 화자의 목소리를 빌리는 것은 한국 문학의 오랜 전통 중 하나


(비상)

- 해학과 풍자

- 한의 정서  (주변국으로부터 침략을 받은 민족적 상황, 신분 사회에서 하층민의 설움, 가부장제 속에서 여성의 설움 등과 관련)

- 자연 친화  (서양에서와 달리 자연을 더불어 살아갈 존재로 인식함)

 

 

○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의 의의

(1) 우리 선조들의 삶에 깃들어 있었던 사상, 정서, 관습, 문화 등을 두루 살피는 일이다.

(2) 우리 문학의 현재와 미래를 위해서 필수적인 일이다.

 

 

728x90

'문학 > 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학 작품의 구성 원리와 수용  (0) 2021.11.16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