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갈래 국문, 역사 소설, 군담 소설
성격 민족적, 비판적
배경 (시간적 배경) 병자호란 때
(공간적 배경) 조선
주제 민족적 영웅 '임경업'의 비극적 일생과 호국에 대한 정신적 승리감
○ 구절 풀이
"병자년에 우리 주상이 종사*를 위하여 네게 항복하셨거니와 내 어찌 몸을 위하여 네게 항복하리요."
(*종사: 종묘와 사직. '나라')
· 임경업의 절개 → 조국의 역사적 아픔에 대한 보상심리
"옥졸들까지도 나를 미워하니, 이는 필시 하늘이 나를 죽게 하심이니 누구를 원망하리오."
· 자신의 죽음까지도 운명으로 여기는 임경업
"이 몹쓸 역적 놈아, 네 벼슬이 높고 국록이 족하거늘 무엇이 더 부족하여 찬역할 마음을 두어 나를 죽이려 하느뇨?"
· 임경업과 김자점의 갈등이 최고조에 이름
○ 갈등 양상
호왕 | 임경업 | 결과 |
항복하지 않으면 죽이겠다고 협박함 | 죽는 한이 있어도 항복할 수 없다며 거절 | 호왕이 임경업의 충절에 감동하여 세자와 대군을 풀어달라는 임경업의 소원을 들어줌. |
김자점 | 임경업 | 결과 |
자신의 계교를 이루기 위해 임경업을 역적으로 몰고 잡아들임 | 자신이 죄가 없음을 당당하게 밝힘 | 김자점에 의해 임경업이 억울한 죽음을 맞음 |
○ 작품 창작 의도
사실 | - 임경업, 김자점 등의 실존 인물 등장 - 실제 사건인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함 |
허구 | - 임경업이 가달을 친 일 - 임경업이 호왕의 부마 제의를 받은 일 - 세자와 대군을 구해 낸 일 |
· 병자호란은 우리 민족의 힘이 부족해서가 아닌, '임경업'과 같은 인재가 뜻을 펼칠 수 없었기 때문임을 강조
· 허구적 방식으로나마 치욕을 위로하고자 했던 심리
○ 작품의 한계점
· 임경업은 명나라를 대신 해 호국(청나라)에 침입한 가달을 물리치고 또 위기에 처했을 때 명나라로 도피한다. 또 호국의 강압으로 명나라를 칠 때도 왜란 때 조선을 도와준 은공을 잊지 않고 명나라와 내통한다. 반면에 호국에게는 시종일관 적대적 태도를 가진다.
· 즉 이 작품에는 명나라에 대한 의리와 청나라에 대한 적개심이 드러나는데, 이는 실리보다는 명분을 추구했던 당시의 보수적인 가치관이 그대로 드러난 것으로 이 작품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출제 키워드
- 영웅의 출현에 대한 민중의 소망이 드러남
- 무능한 집권층에 대한 비판의식이 드러남
- 병자호란의 치욕은 우리가 부족해서가 아니다! 간신배 때문에 영웅이 뜻을 펼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치욕을 씻고자 하는 심리
728x90